오클랜드는 뉴질랜드 최대 도시로, 바다, 언덕, 공원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도시이다.
공식 언어는 영어이고, 치안 또한 안전해서, 유학, 워홀, 이민, 조기유학으로 꾸준히 인기가 있다.
하지만 오클랜드에 장기 체류하며 살아보면, 예상보다 높은 물가와 월세, 느린 행정과 의료 시스템, 일자리 부족과 제한된 커뮤니티, 정서적 고립과 문화적 거리감 등 ‘여유롭기만 한 도시’는 아니라는 사실을 경험하게 된다.
이 글은 2024~2025년 기준,
오클랜드에서 실제로 장기 거주한 한국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주거, 식비, 교통, 의료, 일자리, 정서 관리 등
정착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생존 전략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가이드다.
외곽에서도 비싸다, 주택 위주라 더 어렵다
오클랜드는 주택 위주의 도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공급 부족과 외국인 수요 증가로 인해 임대료가 계속 상승 중이다.
지역 | 주거 형태 | 평균 월세(NZD) | 특징 |
City Centre | 스튜디오 | $500~$700/week | 도심 중심, 관리비 포함 |
North Shore / New Lynn | 쉐어하우스 | $250~$400/week | 교통은 좋지만 시내와 거리 있음 |
외곽(Manukau 등) | 아파트 or 주택 | $400~$600/week | 가족 단위 거주 많음, 가성비 있음 |
▶ 생존 전략:
- Trade Me, Facebook Marketplace, RealEstate.co.nz 활용
- 계약 시 4주치 보증금(Bond) + 2주 선불 요구
- ‘가구 포함 여부(Furnished)’ 확인 필수
- 주택 형태라 인터넷, 쓰레기 수거 등 개별 신청 필요
마트 물가는 높고, 외식은 사치
오클랜드의 식료품 가격은 아시아 도시들에 비해 높고, 특히 고기, 채소, 유제품은 모두 현지 생산 한정 → 공급 제한 → 고가 구조다.
외식은 한 끼에 20~30불 이상이며, 한식은 그보다 더 비싸다.
품목 | 평균 가격(NZD) | 비고 |
닭가슴살 1kg | $14~$18 | Countdown, New World 기준 |
계란 12개 | $6~$8 | Free-range 기준 |
우유 2L | $4.5~$6 | 브랜드별 차이 큼 |
쌀 5kg | $12~$20 | 한인마트 or Pak’nSave |
외식비 예시:
- 로컬 카페 브런치: $22~$28
- 한식당(비빔밥, 찌개류): $25~$35
- 배달 앱 사용 시: $35 이상(팁 + 배달비 포함)
▶ 생존 전략:
- 마트: Pak’nSave > Countdown > New World 순으로 저렴
- 한식재료: Soo Mart, Korea Mart, Farro 등
- 매주 Meal Prep + 냉동보관 식단 루틴 추천
- 외식은 특별한 날로 제한, 로컬푸드 체험은 점심으로
대중교통은 부족하고, 차 없으면 불편하다
오클랜드는 자동차 중심 도시다.
대중교통은 버스 중심이며, 기차 노선은 제한적이다.
Zone 기반 요금제로, 환승은 가능하나 시스템이 복잡할 수 있다.
항목 | 요금(NZD) | 비고 |
버스/기차 단일권(Zone 1) | $2.50~$4.50 | 거리 비례 |
월 정기권(HOP 카드) | $140~$210 | Zone별 가격 상이 |
차량 유지비 | $300~$500/month | 보험, 주유, 등록 포함 |
▶ 생존 전략:
- AT HOP 카드 필수 구매 + 등록
- 출퇴근 거리 좁히기 위해 “Zone 1~2 거주” 추천
- 중고차 구매 시 WOF(검사), 보험, 등록 절차 주의
- 도보 가능 거주지 + 자전거 병행 가능 여부 확인
공공의료는 무료지만 외국인은 제한적
뉴질랜드는 공공의료 시스템이 잘 되어 있지만,
영주권자 이상만 완전 무료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유학생, 워홀러 등은 민간보험 가입 필수다.
항목 | 비용(NZD) | 비고 |
GP 진료(비보험) | $50~$80 | 처방전 추가 시 비용 증가 |
약국 일반약 구매 | $10~$20 | 처방 없이 가능 |
유학생 보험(Orbit, UniCare) | $45~$80/month | 학교 필수 가입 |
워홀러 보험(여행자보험 등) | $50~$100/month | 사전 가입 필요 |
▶ 생존 전략:
- 입국 전 여행자/사설보험 가입 필수
- GP(가정의) 등록 후 진료 가능, 예약 필수
- 치과·안과는 공공의료 제외 → 민간 커버 확인
- 응급상황: 111, 지역 응급센터(Accident & Medical) 이용
친절하지만 느슨한 관계, 자립이 핵심
오클랜드 사람들은 대체로 친절하지만, 깊은 관계로 발전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사적인 질문은 피하는 문화, 소셜 네트워킹은 약한 편이다.
특히 한국인처럼 ‘공동체 중심’ 문화에서 온 사람들은 정서적 외로움과 고립을 쉽게 느낄 수 있다.
▶ 생존 전략:
- Meetup, 교회, 대학 커뮤니티, 지역 행사 참여 추천
- 외국인 친구보다 “같은 목적(유학, 워홀) 가진 한인 친구” 유대감 ↑
- 하루 일정 루틴화: 산책, 독서, 운동 등 정서 순환 활동
- 우울증 예방: 충분한 햇빛 노출 + SNS 과의존 피하기
실제 생활비 요약 (1인 기준, 2025년 기준)
항목 | 월 지출(NZD) | 설명 및 참고사항 |
월세 | $1,000~$2,800 | 쉐어 ~ 스튜디오 기준 |
식비 | $600~$900 | 자취 + 외식 병행 |
교통비 | $150~$250 | 정기권 or 차량 유지 |
공과금/통신비 | $150~$250 | 전기, 수도, 인터넷, 모바일 포함 |
보험/의료비 | $50~$100 | 유학생/워홀러 기준 |
기타 생활비 | $150~$300 | 문화, 커피, 운동 등 |
총합계 | $2,100~$4,600 | 한화 약 180만~400만 원 수준 |
결론: 오클랜드는 ‘천천히 살아가는 도시’지만, 외국인에겐 빠른 적응이 생존이다
오클랜드는 분명 자연이 아름답고, 범죄율이 낮고, 사람도 친절한 도시다.
하지만 외국인으로 이곳에 정착하기 위해선 주거·행정·보험·교통에 대한 빠른 정보 탐색,
정서적 자립력과 커뮤니티 활용 능력, 느린 시스템에 대한 인내와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준비가 된 사람에게 오클랜드는 “느리지만 안정적인 삶의 시작점”이 되어줄 것이다.
'해외 거주 한국인 생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하이에서 장기 생존하기 (0) | 2025.07.12 |
---|---|
초호화 도시 두바이의 현실적 생존 (0) | 2025.07.11 |
방콕에 장기 체류한 한국인의 생존 전략 (0) | 2025.07.10 |
살아보기 전엔 몰랐던 한국인의 함부르크 생존 전략 (0) | 2025.07.09 |
한국인이 경험한 미국 시애틀의 진짜 얼굴 생존기 (0) | 2025.07.08 |